근로시간 개편안의 과정
한국 정부는 고용주와 자영업자를 포함한 모든 국민의 안전, 건강,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로자들이 과도한 시간을 일하는 것을 금지하고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사회적, 국민적 합의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2018-2021년 사이에 주당 총 근로시간에 대한 법적 제한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낮추는 대대적인 근로시간 개혁을 점진적으로 시행하고 있었습니다
2018년에 도입된 현행 제도는 근로자들이 주 52시간까지 일하도록 제한하고 있지만, 그 제한을 69시간으로 늘리고 더 긴 휴가를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근로시간 개편은 근로시간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개혁과 제안 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 하려고 했지만 국민들의 근로시간 69시간 개편안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MZ(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세대의 반응
다양한 반응들 중 특히 MZ세대의 방응이 좋지 않습니다
노동부는 주당 기본 근로시간 40시간에 최대 12시간의 연장근로를 허용하는 ‘주 52시간제’를 변경해 바쁠 때는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시간제 개편 법안을 입법 예고 했었습니다 이 개정안은 노동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MZ세대는 개인의 자유와 공정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주 69시간 근무제 개정안에 대해 비판적일 수도 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최근 MZ세대가 주축인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까지 공식적으로 반대하자 근거 자체가 모호해졌습니다 '주 69시간 기절근무표'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화제가 되며 반대 여론은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는 “현장직, 중소기업 직원은 야근·특근 수당을 통해 기본 급여가 충족되는 구조인데 유연화하면 ‘일 없을 때는 쉬라’고 하고 ‘일 많을 때는 수당 없이 원래 받던 돈만 받아라’는 식으로 악용될 우려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재검토
정부는 의견청취 방식으로 대국민 여론조사 등을 추가로 실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론조사 결과 등을 토대로 제도 보완 방향을 결정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주 69시간 근로제’를 두고 각계에서 강한 우려와 반발이 쏟아지자 해당 법안이 마치 ‘주 69시간 근무’를 강제하는 것처럼 인식되면서 반발 여론이 커지자 국정 운영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란 지적도 있습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근로시간은 선택임에도 강제처럼 인식되는 등 법안 관련 국민 소통 노력이 부족했다는 취지를 밝혔습니다
현재 대통령이 강력히 추진하던 입법이 반대 여론에 부딪혀 제동이 걸렸습니다
다음 달 17일까지 청년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해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댓글